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Tags
- Homebrew
- 탈중앙화
- REACT
- 블록체인
- 화면 출력
- 묶기
- Hook
- 허가권
- lvm
- 해시
- 리눅스
- 우분투
- 비트코인
- Component
- 사용자
- 텍스트 파일
- 의존성
- 우분트
- 소유권
- 조건문
- node.js
- useState
- useEffect
- JavaScript
- Props
- 특수권한
- 마운트
- web
- HTML
- 속성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lvm (1)
Dr Ghost Dev

서버 디스크에 용량이 부족하여 하드디스크를 추가하려고 한다. 그런데 용량이 큰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추가하기보다는 용량이 적은 하드디스크를 추가하려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다. 용량이 적은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면 불편한 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로 사용하는 방식이 RAID와 LVM이다. RAID 구현하기 LVM 구현하기 1. 제일 먼저 lvm2 패키지를 설치한다. apt -y install lvm2 2. 디스크 추가 후 파티션을 진행한다. 필자는 3개의 디스크 추가 후 각각 sdb1, sdc1, sdd1 파티션을 진행하였다. 파티션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lsblk : 블록장치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 3. 파티션 진행을 완료했으면 각 파티션 종류를 L..
서버/리눅스(Ubuntu)
2023. 1. 4. 17:54